【영업 및 마케팅】고용 시장 동향 2018

자동차 (AUTOMOTIVE)

2017년 상반기 국내 수입차 판매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한국 수입차 시장은 해외 기업들에게 큰 관심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동차 회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외국계 1차 자동차 부품 제공업체들은 사드(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보복 여파로 중국 수출에 타격을 입었다. 더불어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부진으로 철수하거나 공장 가동을 중단한 기업도 나타남에 따라, 사드 여파는 중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2017년 내내 꾸준한 채용 수준을 보였다. 특히, 품질 보증, 기술 영업, 전기전자 엔지니어링 경험을 갖춘 엔지니어에 대한 채용 수요는 계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직급에 따라서 주니어 엔지니어의 연봉 인상률은 12~15% 수준으로 예상되는 반면, 시니어 엔지니어의 경우 이직 시, 25% 수준의 상당한 연봉 인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장 관리직 채용의 경우, 기업들은 뛰어난 기술 능력을 보유한 전문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언어 요건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진출하려는 외국계 자동차 부품업체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기술 영업 전문가에 대한 수요 또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관련 엔지니어링 경험과 기술적인 배경을 갖춘 전문가에 대한 수요는 상당히 높은 추세이며, 이직시 기술 영업 전문가들의 평균 연봉 인상률은 25~30%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 (INDUSTRIAL)

2017년도 제조업 및 반도체 분야의 채용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국내 대기업 삼성 전자의 모바일 사업 확장과 매출 증가로, 1차 국내 부품 납품업체 자회사와 외국계 휴대폰 부품 제공업체들의 수익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련 부품 제공업체들은, 신규 사업 기회를 창출해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 영업 전문가에 대한 채용을 확대했다. 해당 직군에서 5년~10년 수준의 경력과 전문 기술 영업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는 15~20% 수준의 연봉 인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공장 및 공장 자동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생산 관리 및 엔지니어링 전문가에 대한 채용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니어 엔지니어의 경우, 해외 지사와 의사 소통 할 수 있는 유창한 영어 실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직군의 우수한 외국어 구사력을 가진 엔지니어 연봉의 경우, 최대 20% 수준까지 연봉 인상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메모리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채용 시장이 호황을 보였다. 반도체 공정 과정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보유한 엔지니어링 전문가의 경우, 12% 수준의 연봉 인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 자유무역지역은 외국 기업의 국내 진입 장벽을 낮추고, 해외 제조업체의 국내 유입을 높일 수 있는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외 제조업체에서 공장 운영을 할 수 있는 생산관리직의 신규 채용 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기 & 화학 (MEDICAL DEVICE & CHEMICAL)

국내 의료 기기 및 화학 업계 호조로 인해, 영업 및 비즈니스 개발 관리자에 대한 채용 수요는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의료 기기 제조업에서는 10년 이상의 관련 경력을 보유한 영업 전문가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의료기기 산업수준의 발전으로 관련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우수한 영어 실력을 갖춘 허가 담당 (Regulatory Affairs) 전문가 인력에 대한 채용 수요가 증가했다. 하지만, 산업 내 전문가 부족으로 해당 직군의 구직자들은 상당한 수준의 연봉 협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기기, 제약 등 의료 산업에서는 여전히 연구 개발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관련 업체들은 연구 개발 인력 확보를 위해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니어 연구 개발 전문가에 대한 높은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한해 동안 제약 및 바이오 업계는 뛰어난 영어 실력을 갖춘 전문가 확보를 위한 움직임을 보이며, 활발한 채용에 나섰다.

화장품 업계의 빠른 성장과 산업 호조로, 화장품 재료 및 원료를 다루는 전문가에 대한 채용 수요가 증가했다. 특히, 5년~10년 정도의 스킨 케어 연구 개발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높았으며, 이러한 추세는 2018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재 및 소매유통 (CONSUMER & RETAIL)

사드(THAAD)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2017년 상반기 소매 부문 인력 채용이 위축되었다. 특히, 명품 브랜드와 면세점은 실적 악화로 매출이 크게 하락하였으며, 이는 산업 내 고용 동결로 이어졌다. 반면, 화장품 산업은 헬스 앤 뷰티 (H&B) 스토어, 스파 및 리조트 등 다양한 영업 채널을 확장하며 디지털 마케팅과 리테일 매니저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시장에 진출하는 외국계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지사 설립 경험을 갖춘 실무형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5년 내외의 경력을 갖춘 젊은 인력에 대한 채용 수요가 증가했다.

온라인 영업 및 마케팅 전문가에 대한 채용 수요는 증가했지만, 산업 내 5년~8년 정도의 관련 경험을 갖춘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는 오히려 부족했다. 관련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는 이직 시 15~20% 수준의 연봉 인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은 비용적으로 효율성이 높은 영업 및 마케팅 전략 개발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많은 기업들이 디지털, 모바일 및 트레이드 마케팅 전문가를 영입하려는 움직임으로 이어졌다.

특히 온라인 및 헬스 앤 뷰티 채널 등의 매출 증가로 인해, 유창한 외국어 구사력을 갖춘 영업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해당 직무 경험을 갖고 있으며, 우수한 영어실력까지 겸비한 영업 전문가들은 15~20% 수준의 연봉 인상을 기대할 수 있다.

>> 더 많은 채용 경향을 확인 해보세요

 

지금 여기를 눌러 채용 문의를 하실 수 있습니다. 로버트월터스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채용 요건에 맞는 최적의 채용 솔루션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채용 조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