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시 효과적인 연봉 협상을 위한 5가지 질문

현재 이직 기회를 모색하고 있지 않더라도 현재 재직 중인 기업의 상황과 채용 시장 내 자신의 객관적 가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성공적인 연봉 협상을 위한 시작점입니다.
1. 스스로의 시장 가치는?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 가능한 많은 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연봉 협상의 핵심입니다. 재직 기업은 어떤 비즈니스 가치를 추구하는지, 앞으로의 성장 동력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현재 기업의 비즈니스에 있어 스스로의 직무 경험과 실적이 어느정도의 중요도를 가지는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지원 기업의 현재 상황은?
이직을 준비 중이라면 지원 기업의 최근 실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년도의 매출과 재무 목표, 임직원 수의 변화 등을 파악한다면 지원 기업의 개괄적인 현재 상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지원 기업의 성장성과 연봉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기준으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잘 보여줍니다.
3. 업계의 전반적 시장 상황은?
기업의 전반적인 현재 상황을 파악했다면 그 다음은 산업 동향을 확인할 차례입니다. 현재 종사하는 업계에 동일 역량을 보유한 후보자가 부족한지, 산업 내 전반적인 연봉 수준이 인상/인하되었는지, 업계 내에 자신의 역량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직무가 다수 존재하여 직무 이동이 가능한지 등을 파악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연봉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직무의 연봉 수준은?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직무의 연봉 수준을 파악한다면 현재 스스로가 적합한 연봉을 받고 있는지
직원들의 연봉 수준을 알아야 합니다. 연봉 협상 시에는 객관적인 수치 즉 회사 내외부의 유사 직무 사례를 들어 의견을 피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업계의 연봉조사 결과를 참조하도록 합니다.
5. 연봉 트레이드오프가 발생하지는 않았는지?
수치상의 총 연봉만 보고 만족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직장이 더 멀리 있거나 교통 수당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물론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이직에 따른 부수적인 비용 증가가 있을 수 있으므로, 기본급여 외 복리후생비, 상여금, 성과급 등을 다방면으로 살펴 총 연봉을 계산할 것을 추천합니다.
연봉은 기대치만큼 높지 않지만 법인차량, 피트니스 멤버십, 직계 가족의 결혼, 생일 등을 위한 경조금, 자녀 교육비 등 다른 혜택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 예상외 보조금이 있을 수 있으니 꼼꼼히 살펴본 뒤 최종 연봉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SNS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