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 산업에서 리쿠르트먼트 업계로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Sales & Marketing – Associate Director
정유경
정유경 Associate Director (이하 AD)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의 B2C, 헬스케어, 자동차・반도체 팀이 속한 Sales & Marketing 부서를 이끌고 있습니다. 지난 3년간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 기업의 해외 사업부에서 근무했고, 로버트 월터스의 인재 채용 전문 컨설턴트로 합류했습니다. 메디컬 산업에서 리쿠르트먼트 업계로 이직한 계기와, 이전 직무 경험이 전문 컨설턴트로 성장하는데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물어봤습니다
Q. 이전 직무 경험이 현재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의 업무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나요?
저는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 기업에서 의료기기, 헬스케어, 의약 등 다양한 요구 역량을 파악하는 업무를 맡았었습니다. 메디컬 산업 전반에 대해 이해력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는데, 현재 헬스케어 고객사의 니즈를 충분히 분석하고 직무에 적합한 후보자를 추천하는데 기반이 되었습니다.
또한 이직을 고려하는 후보자들의 어려움을 공감하며 더 나은 직장을 찾도록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메디컬 산업의 업무는 의료 관련 전문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수였습니다. 갓 입사했을 때는 의료기기 지식과 이를 뒷받침할 의학적 지식이 부족해서 고객인 의사들과 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제가 충분히 이해해야지만 고객들에게 설명이 가능하다는 생각에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고, 의료기기가 사람들의 건강에 기여한다는 보람과 의료기기 영업에 대한 열정이 전문성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런 경험을 통해 영업 역량과 협상 능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이 향상되었습니다. 더불어 세계 각국의 지점장들과 비즈니스 협상을 했던 경험은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에서 국적, 세대, 성별을 뛰어넘어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후보자를 만나는데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Q.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에 입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대학 시절부터 사람들과 교류하며 진취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커리어를 모색했었습니다. 이전 직장에서 영업 직무를 경험하면서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고 협상을 즐기는 스스로를 발견했고, 이직하는 과정에서 제가 모색한 커리어와 개발한 역량을 보다 발휘할 수 있는 분야가 리쿠르트먼트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 입사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성장을 지원하는 환경’입니다. 매니저급 직급 체계가 Manager, Senior Manager, Associate Director로 직원들의 다양한 성과 기반이 되는 승진 제도를 운용하고 있어, 연차와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나 매니저로 진급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그리고 체계적인 트레이닝과 멘토 지정 등 사내 제도를 통해 개인의 성장을 돕고, 성과에 따른 충분한 인센티브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로버트 월터스의 기업 문화가 제 성장을 독려해 주었고, 빠른 승진도 가능케 했습니다.
Q. 성공적인 인재 채용 컨설턴트가 되기 위해 어떤 역량이 필요한가요?
인재 채용 전문 컨설턴트가 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GRIT’ 역량이 필요합니다. 컨설턴트는 구직자와 고객사의 원활한 소통을 담당하므로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단연 중요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RIT’ 역량이란, 성장(Growth) · 회복력(Resilience) ·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 끈기(Tenacity)를 의미합니다.
즉 HR 전문 컨설턴트는 장기적인 목표를 추구해나가는 열정과 투지가 중요합니다. 구직자와 고객사 사이에서 여러 단계의 협상을 거쳐 양쪽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결과를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실무 과정에서 많은 변수를 접하게 됩니다. 또한 영업적 측면을 갖추고 있어 실적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따르기도 합니다. 이에 인재 채용 컨설턴트 과정에서 주어진 상황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업무를 완수하는 의지와 자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에 입사하기 전에는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 기업에 재직했던 경험이 현재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제가 재직했던 시기에는 의료 산업이 고성장 한 시기였기에, 산업의 성장에 동반된 다양한 인·허가 규제에 대해 익힐 수 있었습니다. 제조공정이나 의약 규제 관련 업무인 RA(Regulatory Affairs) · QA(Quality Assurance) · R&D 등 산업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경험하면서, 의료 산업에 대한 거시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저는 전문성 있는 경험 덕분에 기업이 원하는 후보자가 누구인지, 업무에 적합한 후보자가 누구인지를 잘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만족스럽습니다.
Q. 정유경 AD가 생각하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어떤 기업인가요?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명실상부한 외국계 기업입니다.
수평적인 조직문화와 더불어 개인에게 비교적 많은 권한과 책임이 주어집니다. 실무자에게는 업무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실질적인 권한이 부여되며, 회사가 직원의 성과를 인정하고 존중하기에 업무에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무엇보다 팀워크가 중시되고, 그로 인해 소통이 잘 되는 기업 문화입니다.
'팀' 중심으로 업무가 진행되기에 팀워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팀으로 효과적인 시너지를 내고, 이는 결국 개인의 업무 성과를 높이는 원동력이 됩니다. 따라서 개인의 성과 창출만 추구하고 중요 정보를 동료들과 공유하지 않거나, 고성과를 달성한 직원들을 배척하고 질시하는 일은 용납되지 않습니다.
로버트 월터스 코리아는 팀과 조직 전체에 정보를 공유하는 '열린 소통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할 시에 동료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해결책을 함께 고민하여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곳입니다.
SNS 공유